블로그 이미지
강선수

잠시 업뎃 없음

Rss feed Tistory
EPC+C Project 2012. 11. 15. 17:32

EPC Planner의 조건 - 조직도 그리기


일전에 내가

'Planner 면접을 본다면 무엇을 물어보겠는가'라는 질문에

'나라면 조직도를 그려보게 하겠다'라고 답을 했더니

몇몇 사람들이 '그게 뭐냐'라고 지적을 하더라.



물론 직접적 업무연관성은 없다. "조직도-Planning"



근데 한번 보자










국내 top tier의 정직원 과장이 보내온 조직도다.

우연히 오늘 보게 되었다.

(사실 이런저런 이야기하다가 같은 회사 다니는 사람이 '이거 한번 보세요. 완전 가관이에요' 라고 보내주더라)



특이할만한 것은

모든 조직도에 in charge of가 들어간다는 것.

그게 없으면 책임없는 사람인 것같다.


또 특이할만한 것은

'대변인'있다ㅋㅋㅋㅋㅋㅋㅋㅋㅋ 대변인

근데 대변인 스펠링이 spokeman이얔ㅋㅋㅋㅋ



위 두개는 놀리려고 쓴거고, 사실 in charge of나 spokeman이 중요한게 아니라


이 조직도에는 story가 없다는 것이다.


우선


1. QC와 HSE가 가장 좌측으로 빠진건 훌륭하다. 하지만 얘들은 타부서와 병렬로 놓아질 애가 아니라 한단계 위의 지위를 갖는다.

2. 우하단의 Coordinator가 (내가 알기로는) 이 shut down의 Project Control을 하는 입장이라고 알고 있다.

 그렇다면 가장 좌측에 와야된다. 그리고 Schedule과 Expeditor와 한 묶음으로 묶여야한다.

3. Overall Manager가 one of them으로 되어 있다. 세상에 이런 스케줄은 없다. 이 사람은 QC/HSE보다도 더 윗 단계에 있어야 한다.

4. 가로화살표도 가능은 하지만, 사실 reporting하는 관계라면 상하가 더 잘 어울린다. 시공과 관련해서는 아래로 tree를 짜야된다.


이런게 내 지적사항이다.



즉, 조직도를 보면 누가 가장 powerful한지, 누가 누구의 report를 받는지 알아야한다. 한눈에. 안그러면 그냥 bullet list로 업무분장을 나열하면 된다.

첨부된 조직도는 그냥

... 뭐랄까 바둑판 ㅋ





조직도는 바둑판이 아니라, 장기판이 되어야한다. 한눈에 전황이 들어오는 것.





조직도를 잘 그리는 사람이 일을 못 할 수는 있다. 하지만

조직도를 못 그리는 사람은 절대 일을 잘 할 수 없다.



오늘 강의는 끝.


-------------------------------

그렇다면 내가 설명한 그런 식의 조직도는?


아래와 비슷하다.



제발 간과하지 마라. 그리고 누군가 이 글을 본다면.. 좀 심각하게 받아들일 필요가 있다.




,
EPC+C Project 2012. 11. 11. 21:56

강선수가 생각하는 EPC Planner

 

 

'강선수가 바라는 EPC Planner의 像'에 대해 써볼까 한다.

 

 

 


1. 프로젝트를 Lead 하는 능력

Scheduler는 Schedule을 만들지만, Planner는 기획(Planning)을 한다.
Scheduling의 총체는 EPC CPM Schedule이고, Planning의 총체는 Execution Plan이다.

Planner는 프로젝트 전체에 대한 기획을 할 수 있는 사람이어야 한다. (물론 타 부서의 도움을 충분히 받는다는 전제하에)
다르게 말하면 Project Control Manager가 Execution Plan을 작성할 때 대부분의 input을 제공해야한다.

(click 'more' - 붉은 글씨가 직간접적으로 Planning과 연관된 항목들)



좀 벙찐 이야기일지 모르겠지만, Planner는 프로젝트 전체에서 최소한 30%정도의 agenda를 생산할 수 있어야 한다.
예를들면, schedule issue, potential risk (schedule측면), Project 관리 방안 변경, reporting 방식 변경, 추가적인 cost의 문제, change order의 문제 (대 발주처, 대 협력업체)


이런 agenda를 남보다 먼저 제기한다는 것은, 프로젝트를 리드하고 있다는 것이고
본인이 짜 놓은 계획과 방법에 따라 PM이 프로젝트를 관리하도록 만든다는 점이다.

 


2. Planning Experience

1) Parametric Estimation

조금 더 실무적인 기술을 요하는 문제이다. parametric estimation도 일부라고 볼 수 있는데. 
예를들어서, 구매담당자에게
'그거 터빈 지금 발주내면 언제쯤 들어와?'라는 질문에 바로 답을 못하면 정말 답답하다. 
'업체한테 견적서 받아봐야되는데요?'라는 식의.

역시 시공담당자에게
'그거 콘크리트 타설다하고 거푸집 떼네는데 까지 얼마나 걸릴까?'라고 물어볼 때. 
'업체한테 스케줄 받아봐야되는데요?'라는 식이면 곤란하지.


이럴 때
'그거 지금 발주나가면 한 18개월 + 2개월해서 20개월 걸려요. 자세한건 두중한테 질의해야됩니다'
'그거 내일 모레 타설할 수있는데, 양생하고 바라시하는데 한 한달 반 잡으셔야할껄요?'

라고 답해주는 사람이 필요한거다.



얼마전에 옆 프로젝트에서
'90% 3D Modeling이 다섯달 늦어지면 전체적으로 공기에 얼마나 영향을 받습니까?'라고 PM과 PCM, Planner가 다 있는 자리에서 그냥 가벼운 마으으로 질의했는데.
돌아온 답변은
'Level 3를 다시 짜봐야한다. 전혀 알 수 없다. 감도 잡을 수 없다'는 답변이 돌아왔다.

그냥 참고 삼으려고 물어본건데도. 전혀 대답하지 못한 것. 


정말 깜도 없는데다가 Planning의 기본도 없는 사람이지. 이럴 경우 rolling wave plan이라는 전제하에
처음에는 -50%~+100%정도의 오차로 예측을 하면 된다. (reference to PMBok)
그리고 점차 그 정확성을 높여가는 방법이다. 즉, 그 당시에 필요한 답변은
A4 한장에 쭉쭉 그려가지고
'modeling이 5달이면 이게 piping에 impact을 직접 미치지만, 그동안에 structure에서 많이 따라잡을 수 있을테니, 
석달에서 에서 넉달 반정도 impact을 받을 수 있을 것임. 자세한건 따로 Impact Analysis Report를 제출하겠음'
이거였다.


2) Planning Procedure thru whole project

이건 내가 Level 1을 어떻게 만들고, 2를 어떻게 만들고, 3를 어떻게 만들고, 4를 어떻게 만들고, mid term Schedule을 만들지 말지에 대한
전체적인 운용경험을 말한다.

Level 1을 별도로 만들 것인지 vs 아니면 Level 3를 Roll up 해서 만들 것인지
Level 3를 enough detail하게 만들 것인지 (8000줄 안팎) vs 아니면 3000줄정도로 정리하고, Level 4를 가동할 것인지
Level 4는 주요공종을 중심으로 만들 것인지 vs 아니면 전 공종을 (가급적) 다 포괄해서 만들 것인지
Commissioning Plan을 Level 3에 합친 형태로 갈 것인지 vs 아니면 별개로 갈 것인지

등등의 숱한 운영계획을 만들 수 있는 능력이다.



아래는 내가 다니는 회사의 Standard에 나타난 Planning과 Scheduling의 responsibility에 대한 내용이다.

 

 

 

 


3. Planning Skill


예를들어 '터파기-버림-철근-거푸집-타설-...' 이런 것은 별로 중요하지 않다.

즉, work package 안에서의 작업보다는

작업간의 interdependencies가 더 중요하다는 것이고, 더 중요한 것은 공종간의 그것이 더 중요하다.

작은 것들의 상관관계를 아는 것보다는 큰 것들의 상관관계를 알아야하는 것.

(동일 공종내에서는 사실 그 부서의 사람들과 협의하면 되지만, 타 공종간에서는 coordination이 상대적으로 부족하고, 이걸 planner의 경험으로 메워야하기 때문이다)


underground 배관, 기계 Foundation, 건물 Foundation, Cable Trench, Direct Buried, Sewer, Catch Basin 등은

단순히 깊이만 가지고 우선순위를 매기기엔 또 그리 간단하지 않다.


이런 것들을 처리할 수 있는게 Planning Skill이라고 생각한다.


 


4. Engineering background

이건 개인적인 의견이지만, 꼭 필요하다고 본다.
별도로 설계실 근무가 필요한건 아니지만 한 3년 정도 실무로 프로젝트를 해보면서, 본인이 호기심있게 프로젝트를 들여다보면 알 수 있다.


지금 우리 프로젝트에서도 설계 문제 하나가 안풀려서 낑낑대고 있는데
schedule impact가 예상되는 시점에서, 설계부서가 떨궈주는 감만 바라보고 있을 수는 없다. 본인이 깜이 있어야 선제적으로 대응 할 수 있다.

본인 스스로 Engineering이나 Construction에 대해 지식이나 깜이 모자라면
그냥 delivery engineer로 전락하는거다. 여기서 이거 받아서 저기어 저거 받아서 완성시키고, 검토 부탁하고, 제출하는.
가장 비참한 Planner.






5. Project Experience

프로젝트르 하다보면 답답한 경우가 많다.
지금 본인이 하는 결정이 이후에 어떤 방향으로 흘러갈지 전혀 예측을 못하는 상황이 그런거다.

뭐, 스케줄을 3만줄로 짜는 사람의 경우가 대표적이라고나 할까?
만드는건 어찌 만들 수 있을지 모르겠지만, 이걸 운용해본 적이 없는 사람??? ㅋㅋ 

'나중에 재앙이 될꺼다. 당신의 인력으로 이걸 절대 못한다. 나중에 Commissioning&Startup 때 어떻게 할거냐' 라는 질문에

걱정말라고 했지만

결국은 붕괴되고 말았다.  (2-2 Planning Procedure의 내용과 비슷하넹?ㅋ



그렇기 때문에 프로젝트를 처음 시작해서, 끝을 봐본 경험이 중요하다.
자신이 팀을 꾸릴 때 
한국 사람을 몇명으로 할지, 3국인과의 비율은 어떻게 할지, 내부의 업무분장은 어떻게 할지.
발주처의 요구 중에 어떤걸 들어주고 어떤걸 안들어줘야 나중이 편할지.

Commissioning Plan은 어떻게 꾸려야지만 나중에 편하게 발을 뺄 수 있는지.. 등등


이런걸 모르는 사람은 나중에 걷잡을 수 없이 프로젝트가 골로간다.
지금 내 프로젝트가 그렇다.




6. Construction Background

4번 Engineering Background와 마찬가지. 최소한 Planner라면 도면을 보고 어떻게 접근해서 어떻게 시공을 할 것인지에 대한 기본적인 이해는 있어야한다.

최근에 이런 일이 있었다.

옆 프로젝트에서 Fire Water의 Underground 배관의 스케줄을 잡는데 (in revised Level 3 schedule) 일부 구간이 Crane이 앉아야하는 자리를 지나가는 것이었다.
근데 이 프로젝트의 Critical Path는 그 Crane이 설치하는 철골이기 때문에 절대로 비켜줄 수 없는 상황.


Fire Water의 시기를 맞추려면 저단 철골일 때 더 큰 crane을 불러와서 건너편에서 시공하면서 잽싸게 끝내거나,
아니면 프로젝트 전체 순서를 다 틀어놓든가,
마지막으로 발주처에게 양해를 구하고 Fire Water와 관련된 계약 사항을 변경해야할 처지인거다.


이걸 누가 잡아야되냐고?

Planner가 최종적으로는 잡아 내야된다. (물론 공사부장이 잡아야됨. 1차적으로)




7. 기타 

열정 / 적응력 / Software Skill / Coordination 능력



------------------------------------

계속 퇴고를 더 하겠지만, 대충 하루정도 고민해서 적은 내용이 이 정도다.

 

그렇다면 한마디로 내가 원하는 Planner의 덕목은 뭐냐. 라고 물어본다면.


신입사원에게는 '교양'이라고 대답해주고,

5년차 대리에게는 '열정'이라고 말해주고,

10년차 과장에게는 '겐또'라고 대답해주고 싶다.


마지막으로 그 이상의 차부장에게는 '정치력'도 중요하다고.. (이게 일반적으로 말하는 '사내정치'따위가 아니오!)

 


 

(이견이 있을지 모르겠지만)

Planning 부서는 Project 최선임 부서인 Project Control에서도 가장 top이라고 볼 수 있다.

 

각 시공담당자가, 혹은 설계담당자가, 구매담당자가 본인의 것을 깊이 파면서 전문성을 높일 때

Planner는 이들을 잘 엮어서 최종 작품을 만들어 내야한다.

 

그래서 전체적인 시야와 경험, 그리고 교양이 중요한 것이다.

 

 

 

 

진짜 마지막으로

 

예전에 학교에서 연습문제를 풀 때였다.

문제는 어떠한 조건을 주고 승용차의 무게를 구하는 문제였는데

답이 250,000lb정도가 나왔고, 그 학생은 그냥 그걸 답으로 써 냈다.

 

 

당시 교수님이

'이봐, 자동차가 보통 몇kg인지 아나?'라고 물어보셨고 머뭇거리다가 그 친구는

'한 1~2톤 정도 될 것 같습니다'라고 답을 했다.

 

교수님은, 최종 정답을 구하고 이것이 

'Engineering Sense에 비추어봐서 현실적인 답변인지를 알 수 있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고 강조하셨고

지금도 내게는 그 말씀이 금과옥조다.

 

 

800MW짜리 발전소 건설에

각 부서에서 올라온 모든 스케줄의 합이 만일 65 months라고 하다면, 그것은 분명히 잘못된 것이다.

이건 돌려보고 뭐하고, verify하고 뭐하고의 문제가 아니라

그냥 말도 안되는거다.

 

Manpower를 받아서 돌려봤더니, 그 peak 값이 4,500명이 나왔다면 그것 역시 말도 안될 가능성이 높다.

1달의 construction schedule이 9%p를 넘어간다면 그것 역시 어딘가에서 문제가 있었을 가능성이 높다.

배관이 끝나고 E&I가 한달 내에 끝난다면 그것도 역시 문제가 있을 가능성이 있다.

 

 

이러한 겐또를 'verifying the feasibility of CPM'이라고 부른다. 그리고 이 standard에서는 그걸 curve로 하는 방법을 소개해주고 있다.

 

 

역시 겐또는 중요하다. 본인 스스로의 validation methodology를 갖는 것 역시 중요하다.

 



...

글은 원래 거창하기 시작하면 용두사미가 되기 마련이다.

또 지리멸렬해져버렸다.


,
EPC+C Project 2011. 8. 2. 19:54

강선수 떠남

사실 청운의 꿈을 품고 회사를 옮기고,

일년간 종로타워에서 삐대다가, 결국 site로 나가게 되었음둥..


Project는 Abu Dhabi의 국영 플라스틱 회사인 Borouge(보르쥬)에다가 플라스틱 생산공장을 짓는 일이고
해야할 일은
Cost/Planning Engineer. 소속은 같은 회사지만 법인만 외국 법인으로 옮기고...
한국 office와는 계약이 종료(해고되는?ㅋ) - 퇴직금 받음. 아싸라비아.


장소는 두바이에서 약 400km정도 떨어지고, 아부다비에서 250km정도 떨어진
Ruwais라고 하는 공단. 한국인들이 버글버글하다고 함.

기간은
2011년 8월 15일 ~ 2014년 6월경 (약 2년 10개월 예상)




가족이 나가서 함께 살만한 지역이 아니라 혼자 나가서 살고, 휴가 사이클은 3개월 + 2주. (not bad, not bad)
(2주 휴가가 3개월에 포함되는지 안되는지는 차후 협의해야 함,
2.5개월+2주+2.5개월+2주인지, 아니면 3개월+2주+3개월+2주인지)


몇몇가지 맘에 드는 것도, 맘에 안드는 것도 있지만
결국은 engineer로의 숙명적인 일이 아닐까 싶고, 별로 내세울 경쟁력이 없는 사람이 이런거라도 넙죽넙죽 가지 않으면 밥굶기 딱 좋겠다는 생각도 들고..ㅠ


나간 김에 관련된 자격증 공부 하나 해오고, 아랍어 조금 공부해보고, (어쩔 수 없이 하겠지만) 영어공부 많이 해오겠음.




자, 건강합시다.



덧. 올림픽 3차 예선 한국 vs UAE를 볼 수도 있을 것 같은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
EPC+C Project 2011. 6. 28. 17:43

곰팡이처럼 퍼져나가는 엔지니어들.

예전 어떤 글에서

플랜트 업계에서는 중국보다 인디아가 더 클 가능성이 있다.는 글을 본 적이 있다.

내용인즉슨


인디아는 기본적으로 전 업종에 사람들이 퍼져 있다. General Manager부터 Janitor까지.
사장부터 청소부까지.

FEED, PMT, Detail Engineering Center, EPC contractor, Sub Contrator, Operator
숱한 업종과 레벨에 사람들이 퍼져 있다.

이 사람들을 모으기만 해도,

FEED부터 Commissioning까지 일관된 프로젝트를 할 수 있다는 것이다.


사실 이런게 중요하다.
삼성엔지니어링 백개 있는 것 보다 이렇게 각지에 퍼져 있는 인적 네트워크를 구축하는 것이 훨씬 더.
사실 일국의 역량을 판단하는데 있어 인적자원만큼 명확한 (게다가 건설회사!) 기준이 있겠는가.






어찌되었건,


한국 사람들도 퍼져나가야된다.

Jacobs에 들어가서 Cracker FEED도 해보고, Marine FEED도 해보고,
Siemens에 들어가서 Equipment 제작도 해보고,
Bechtel에 들어가서 Nuclear Consulting도 해보고,
Aramco에 들어가서 Petroleum Plant Operating도 해보고, Commissioning도 해보고..






EPC로 먹고살 수 있으니, 모두 우르르르 몰려가서 EPC하다가
어려운 때가 닥치면 모조리 문을 닫게되는
박종환선생식 벌떼축구가 아니라

좀 뭔가 잘 좀 나눠서 이것도 할 줄 아는 사람, 저것도 할 줄 아는 사람들이 모여서
한인 엔지니어의 네트워크를 구축하는 일.
어느 레벨에 가나 한국인들이 옹기종기 모여있어서, 쉽게 일을 처리할 수 있는 세상.


그런거다. 그런 사람들이 많아져야된다.



그래서 나는 이 PMC레벨에서 반드시 뿌리를 내릴테다.

나중에 도움이 될꺼다. 여러가지 면에서.



 



 

,
EPC+C Project 2011. 1. 1. 01:08

빡셌던 기억, Saudi Ma'aden Power & Desalination Plant

2008년 5월 21일에 출국
2010년 6월 28일에 입국
만 2년 1개월을 Field Control의 Planner로 근무

Scheduling Tool은 Primavera 3.0을 사용
Engineering과 Procurement Stage는 본사의 ***과장이 컨트롤,
Construction, Commissioning도 최초에 본사에서 작성
현장에서는 Recovery Schedule을 작성하는 시점에서 하나하나 인수인계를 받음. (***과장 퇴사)


차차 이야기를 할 기회가 있겠지만, 야튼간에
내 인생에 참 중요한 기로가 되었던 Project.

S**상무님, K**차장과 일을 하게 되었고, 발주처인 Worely Parsons에선 Allan이 count partner였고,
일하는 방법
Project를 대하는 방법을 깊이 고민하게 해줬던 프로젝트 ('나는 그러면 안되겠네..,'하는 것도 있었다)




삼성 Engineering이 수행했었던 AMP (Ammonia Plant)의 double wall tank.
 







우리가 수행했던 PDP (Power & Desalination Plant)의
Steam Turbine의 Condenser쪽 Seawater Supply/Return Line



------------





Camp와 Office에 대한 이야기를 할 기회가 있을지도 모르겠다.
근데 주어진 상황에서 최선을 다했다는 점에서는 전혀 이견이 없지만

그 상황 자체를 바꿀 수 있지는 않았을까.. 하는 아쉬움은 남는다.
백약이 무효아니었냐.는 항변에는 나도 뾰족한 답이 없다.
완화시키는 것 정도가 할 수 있는 Best가 아니었을까.

싸우기도 전에 이기는 판을 만든다고 라인하르트를 부러워했던 얀웬리 생각이 난다.






캠프 내의 Muster Point (혹은 Assembly Point라고도). 테러가 나면 여기로 모여야...





캠프의 사진. 오른쪽 건물에 들어가서 오른쪽 첫번 째 방이 내 방이었다. 1인 1실, 화장시 1개, 침대 한개, 책상 한개...







아부하드리아 고속도로에서 빠져나와 Jubail을 가다보면 지나게 되는.. 뭐 그냥 도로 








욘석들.
뭐 그리 좋아하지는 않았지만, 그래도 욘석들이 없었으면 아마 못버텼을지도 모르는
녀석들.









이렇게

빡세고 빡센 첫 해외 프로젝트는 끝났고
...

The show must go on.

,
TOTAL TODAY